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날마다 좋은날 국악 명상 음악

아리이ㅐ네ㅏㅐ댜ㅐㅁㅇ/ㅑㅓㅏ리ㅓㅣ어말어ㅏㅣ머아ㅣㅓ미ㅏㅓ야ㅐㅕ댜ㅕ랴ㅕㅑ뎌여랴뎌ㅑ ㅍ

날마다 좋은날 국악명상음악

아리이ㅐ네ㅏㅐ댜;ㅐㅁㅇ/ㅑㅓㅏ리ㅓ;ㅣ어말어ㅏㅣ머아ㅣ;ㅓ미ㅏㅓ야ㅐ;ㅕ댜ㅕ랴ㅕㅑ뎌여랴뎌ㅑ ㅍ

날마다 좋은날 카혜 (Kahae), 살래마을우주합창단

방문을 열고 나오면 넓고 넓은 마당에 별 생각없이 이리저리 서성거린다 오 흙이다 바람이다 오 구름이다 숨이 쉬어진다 오 배롱꽃이다 천왕봉이다 오 나를 둘러싼 높은 산 봉우리들 오~ 눈부시게 빛난다 스치는 순간 순간이 오 좋은 날이다 좋은 날이다 날마다 좋은 날이다 방문을 열고 나오면 넓고 넓은 마당에 별 생각없이 이리저리 서성거린다 오 풀이다 이슬이다

날마다 좋은날 해성스님

푸른 하늘 향해 우리 날마다 좋은 날 만들어 봐요 나만의 행복보다 이웃과 함께하는 그런 행복이 좋아요 어둠이 있는 곳에 밝은 빛이 되고 슬픔이 있는 곳에 기쁨을 주고 사랑과 자비로움 함께 나누는 희망과 행복의 노래 마음껏 불러 봐요 언제나 내 곁에서 울고 웃던 친구야 우리 모두 손잡고 날마다 좋은 날 행복한 날 만들어 봐요 어둠이 있는 곳에 밝은 빛이 되고

날마다 좋은날 이자연

날마다 좋은 날 날마다 좋은 날 달마다 좋은 달 달마다 좋은 달 해마다 좋은 해 해마다 좋은 해 얼씨구나 지화자 좋다 이 세상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 한번 왔다 가는 인생을 슬픔일랑은 저 바람 속에 모두다 날려버려요 외로운 사람 친구를 찾고 가난한 사람은 부자가 되는 그런 인정을 나누며 그런 사랑을 나누며 둥글둥글 살아나가면 얼마나 좋아

일야도 국악

백악산(白岳山) 기슭에 서실(書室) 몇 간을 지어 청송(廳松)이라 편액하고 날마다 대학(大學), 논어(論語)를 읽음. 사후 좌의정에 추증. 2)이리해도 태평성대. 3)요임금 시대의 해와 달. 4)순임금 시대의 하늘과 땅. 5)즐기고 즐긴다는 옛말.

명상 정강스님

산 깊고 물맑은 깊은 숲속에 고요히 눈을 감고 명상에 들면 멀리서 들리는 산새소리는 번뇌에 티끌처럼 몰려 오는데 꿈처럼 흘러간 속세의 일들이 - - - 아니 아니 꿈도 싫고 사랑도 싫어 소나무 잣나무 우거진 숲속 오늘도 나무끝에 해가 저무네 내마음 깊은 곳 영혼의 소리 영원한 평온을 찾았을때 산새들 어디가고 나홀로 앉아 오늘도 숲 너머로 해는 저무네

명상 전자양

깊은 밤에 질서를 따라가지 슬픈 유령은 논밭 위로 떠다니지 인사하려던 내 발은 젖어오고 한가위 공복에 젤 좋다는 달이 둥실 이제는 먹어도 먹어도 배가 고파 세계를 전부 집어 삼켜도 모자라는 텅빈 내 배로 산타를 도와줘도 모든 아이들의 웃음을 볼 것 같아 반짝반짝반짝이는 별을 세다 보면 꾸벅꾸벅꾸벅이는 강아지는 야옹 쌔긴쌔근쌔근대는 아가들이 깰라 부엉...

명상 정천

산깊고 물맑은 깊은 숲속에 고요히 눈을 감고 명상에 들면 멀리서 들리는 산새 소리는 번뇌의 집불처럼 몰려오는데 꿈처럼 흘러간 속세의 일들이 아니아니 꿈도 싫고 사랑도 싫어 소나무 잣나무 우거진 숲속 오늘도 나무끝에 해가 저무네 내마음 깊은곳 영혼에소리 영원한 평온 찾았을 때에 산새들 어디가고 나홀로앉자 오늘도 숲넘어로 해는 저무네

이렇게 좋은날 패티김

루루루루 루루루 루루 루루루루 루 음악,그이상의 즐거움,BUGS

날마다 좋은날 (2012 Ver.) 연서

날마다 좋은 날(날마다 좋은 날) 달마다 좋은 달(달마다 좋은 달) 해마다 좋은 해(해마다 좋은 해) 그랬으면 좋겠습니다 이 세상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 좋은 일만 가득 하세요 슬픔일랑은 저 강물 속에 모두 다 던져 버려요 앓는 사람은 병이 다 낫고 가난한 사람은 부자가 되니 서로 진정 나누어 서로 마음을 보듬어 우리 다 함께 살아가면은

한잔 국악

셋째바탕 계면-평-계면 장진주(界面-平-界面) 한잔 먹사이다. 또 한잔 먹사이다 꽃것거 주(籌)를 놓고 무진 무진 먹사이다. 이몸 죽은 후에 지게 우에 거적 덮어 주푸루혀 메여가나 유소보장(流蘇寶帳)에 백복시마 울어예나 어욱새 더욱새며 덕게나무 백양(百楊)숲에 가지 곧 가량이면 누른해 흰달과 굵은눈 가는 비 소소(簫簫)리 바람불제 뉘 한잔 먹자하리...

판소리(흥부가) 국악

흥보 제비가 들어온다 박흥보 제비가 들어온다. 부러진 다리가 봉통 아지가 져서 전동 거리고 들어와 예~~~~~~~~~~~~~~~~ 제비 장수 호령을 허되 너는 왜 다리가 봉통 아지가 졌노. 흥보제비 였자오되 소조가 아뢰리다 소조가 아뢰리 다 만리 조선을 나가 태어나 소조 운수 불길허여 툭떨어져 대번에 다리가 짝깍 부러져 거의 죽게 되었으...

해당화 국악

셋째바탕 반우반계 반엽(半羽半界 半葉) 담안에 섯는 꽃이 모란인가? 해당화(海棠花)인가? 해뜩발긋 피어 있어 남의 눈을 놀래는다 두어라, 임자있으랴. 나도 꺾어 보리라 -申獻朝1)- 1장 : 담안에 섯는 꽃이 2장 : 모란인가? 해당화(海棠花)인가? 3장 : 해뜩발긋2) 피어 있어 남의 눈을 놀래는다 4장 : 두어라 5장 : 임자있으랴. 나도 꺾...

국악

<셋째바탕 계면조 편수대엽(界面調 篇數大葉) 월일편등삼경> 월일편등삼경(月日片燈三更)인제 나간 님을 혜여보니 청루주사(靑樓酒肆)에 새님을 거러두고, 불승탕정(不勝蕩情)하여 화간백상춘장만(花間栢上春將晩)한데 주마투계유미반(走馬鬪鷄猶未返)이로다 삼시출망무소식(三時出望無消息)하니 진일난두(盡日欄頭)에 공단장(空斷腸)을 하여라 -朴文郁1)- 1장 : 월...

가야금병창(호남가) 국악

함평천지 늙은몸이 광주 고향을 보랴허고 제주어서 빌려타고 해 남으로 건너갈제 흥양에 돋은해눈 보성에 비쳐 있고 고산의 아침안개 영암을 둘러있다 태인하신 우리 성군 예악을 장흥허니 삼 태욱경의 순천심이요 방백 수령의 진안 군이라 고창성에 홀로 앉어 나주 풍경을 바래보니 만장운 봉이 높이 솟아~~~ 층층한 익산이요 백리 담양어 흐르난 물은 구부구부 만...

가곡(우락) 국악

바람은 지동(地動)치듯 불고 궂인비는 붓드시 온다 눈 정(情)에 거룬님을 오늘밤 서로 만나자 허고 판 첩 처서 맹서(盟誓)를 받았더니 이 풍우중(風雨中)에 제 어이 오리? 진실(眞實)로 오기곧 오량이면 연분(緣分)인가 하노라

가곡(편수대엽) 국악

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발노인)한손(백...

이화 국악

<둘째바탕 계면조 중거(界面調 中擧) 이화에>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허고 은한(銀漢)이 삼경(三更)인저 일지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야 알랴마는 다정(多情)도 병(病)인양 허여 잠못들어 하노라 -李兆年1)- 1장 : 이화(梨花)에 월백(月白)2)허고 2장 : 은한(銀漢)3)이 삼경(三更)4)인저 3장 : 일지춘심(一枝春心)5)을 자규(子規...

사물놀이 국악

바람은 국악

1장 : 바람은 지동 치듯 불고 2장 : 궂인 비는 붓드시온다 3장 : 눈정에 거룬님을 오늘밤 서로 만나자 허고 판첩처서 맹세 받았더니 이 풍우중에 제 어이오리 4장 : 진실로 5장 : 오기곳 오량이면 연분인가 하노라

모란(꽃의 노래) 국악

<계면조 편수대엽(界面調 篇數大葉) 모란은> 모란은 화중왕(花中王)이요, 향일화(向日花)는 충신(忠臣)이로다. 연화(蓮花)는 군자(君子)요, 행화(杏花) 소인(小人)이라. 국화(菊花)는 은일사(隱逸士)요, 매화(梅花) 한사(寒士)로다. 박꽃은 노인(老人)이요, 석죽화(石竹花)는 소년(少年)이라, 규화(葵花) 무당(巫堂)이요, 해당화(海棠花)는 창녀...

사라 국악

33 사라라고? 사~아라~~~~~~~~~~ 사~~~~아라~~~~ 보아너래

상사 국악

<셋째바탕 평조 두거(平調 頭擧) 식불감> 식불감(食不甘) 침불안(寢不安)허니 이어진 모진 병(病)고 상사일념(相思一念)에 님 그리든 탓이로다 저임아 널로 든 병이니 네 고칠까 하노라 -作家未詳- 1장 : 식불감(食不甘) 침불안(寢不安)1)허니 2장 : 이어진 모진 병(病)고 3장 : 상사일념(相思一念)2)에 님 그리든 탓이로다 4장 : 저임아 ...

청산도 국악

계면조 계락(界面調 界樂) 청산도 1장 : 청산(靑山)도 절로절로 2장 : 녹수(綠水)라도 절로절로 3장 : 산(山) 절로절로 수(水) 절로절로 산수간(山水間)에 나도 절로절로 4장 : 우리도 5장 : 절로절로 자란몸이니 늙기도 절로절로 늙이리라

시나위 국악

안녕?

산촌 국악

이 전통가곡은 인간문화재이신 조순자 선생님께서 부르신 곡입니다. 저는 조순자 선생님의 홈페이지 영송헌 홈지기입니다. www.chosoonja.org <계면조 중거(界面調 中擧) 산촌에> 산촌(山村)에 밤이 드니 먼데 개 지저온다 시비(柴扉)를 열고 보니 하늘이 차고 달이로다 저 개야 공산(空山) 잠든 달을 지저 무삼하리오 -千錦1)- ...

가야금산조 국악

가야금산조는 가사가없는데요.....

소식 국악

.

이화(사모) 국악

초장 : 이화에 월백하고 이장 : 은한이 삼경인저 삼장 : 일지 춘심을자규야 알랴마는 사장 : 다정도 오장 : 병인양허여 잠못들어 하노라. 이곡의 제목은 여창가곡 중거 (계면조) 입니다.

평시조 국악

초장 :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감을 자랑마라. 중장 : 일도 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 종장 :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남하여(배달부) 국악

초장 : 남하여 편지 전치말고 이장 : 당신이 제오되어 삼장 : 남이 남의 일을 못일과저 하랴마는 사장 : 남하여 오장 : 전한 편지니 읽동 말동 하여라. 이곡의 제목은 반엽 입니다.

가곡(삼수대엽) 국악

gfh

항산곡 국악

이 전통가곡은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의 예능보유자이신 영송당 조순자 선생님께서 부르신 곡입니다. www.chosoonja.org <둘째바탕 계면조 이수대엽(界面調 二數大葉) 황산곡> 황산곡(黃山谷) 돌아들어 이백화(李白花)를 것거쥐고 도연명(陶淵明) 찾으리라 오류촌(五柳村)에 들어가니 갈건(葛巾)에 술듣는 소리는 세우성(細雨聲)인...

수제천 국악

31 모두모두 감상합시다*^^* 국악이 좋은 것이여~~♡

한숨 국악

이 전통가곡은 인간문화재이신 영송당 조순자 선생님께서 부르신 곡입니다. www.chosoonja.org 저는 영송헌 홈지기 입니다. 둘째바탕 평조 두거(平調 頭擧) 한숨은 바람이 되고 눈물은 세우(細雨)되어 임(任) 자는 창(窓)밖에 불면서 뿌리과저 날잊고 깊이든 잠을 깨와 볼까 하노라 -作家未詳- 1장 : 한숨은 바람이 되고 2장 : 눈물은 ...

녹초춘강 국악

이 전통가곡은 인간문화재이신 조순자선생님께서 부르신 곡입니다. www.chosoonja.org 제목은 계면조 평거 녹초청강상입니다. <둘째바탕 계면조 평거(界面調 平擧) 녹초청강상> 녹초청강상(綠草淸江上)에 굴레벗은 말이 되어 때때로 머리들어 북향(北向)하여 우는 뜻은 석양(夕陽)이 재넘어 가니 님자 그려 우노라 -徐益1)- 1장 :...

모시(다시 오시길) 국악

초장 : 모시를 이리저리 삼아 이장 : 두루삼아 감삼다가 삼장 : 가다가 한가운데 뚝끊쳐 지옵거든 호치단순으로 홈빨며 감빨아섬섬옥수로 두끝마조 잡아 백부쳐 이으리라 모시를 사장 : 우리도 오장 : 사랑 그쳐갈제 저모시같이 이으리라 이곡은 여창가곡 편수대엽 (계면조) 입니다.

북두칠성 국악

1장 : 북두칠성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분께 2장 : 민망한 발괄 소지 한장 아뢰나이다 3장 : 그리든 임을 만나 정옛 말삼 채 못허여 날이 쉬새니 글로 민망 4장 : 밤중만 5장 : 삼태성 차사 놓아 샛별 없이 하소서

고기잡이 국악

.

언약(약속) 국악

초장 : 언약이 늦어가니 이장 : 정매화도 다지거다 삼장 : 아침에 우든까지 유신타하랴 마는 사장 : 그러나 오장 : 경중 아미를 다스려 볼까 하노라. 이곡의 제목은 여창가곡 이수대엽 (계면조) 입니다.

전폐희문 국악

단밀중학교......멋쪄여................. 아덜은 별루 없지만.............................. 참 대단한.......아이덜 특히.....조은 선생님들이 있답니다........................ 무섭지만... 착한 1학년 후배들.......특히......제가 착합니다.

평조회상 국악

ㅋ 야 미&#52434;냐 이런걸듣게

대금산조 국악

이런 거 올리는 건 처음이네..^^:; 그냥 숙제로 한 번 들어와봤는데. ㅋㅋㅋ 이거 듣고 졸지마세요..^^;; 아.. 듣지도 않으시겠구나.. 그래도 한 번 들어보시고 음악감상하시길..^^ "대금산조" 아주 좋은곡 입니다.. 여러분의 많은사랑 부탁드립니다..(꾸벅..) 안녕~~

지름시조 국악

초장 : 삭풍은 나무 끝에 불고,명월은 눈속에 찬데 중장 : 만리변성에 일장검 집고서서 종장 : 긴파람 큰한소리에 거칠것이 없세라. 이곡은 평시조 입니다.

박원 국악

33 구냥 들으세염 ^^;그리구 제 이름은 김혜인이라고 해염

수산 국악

이 전통가곡은 인간문화재이신 조순자 선생님께서 부르신 곡입니다. 제목이 틀린것이 많습니다. 아래 계면조 중거 서산에가 제대로 된 제목입니다.www.chosoonja.org <셋째바탕 계면조 중거(界面調 中擧) 서산에> 서산(西山)에 일모(日暮)하니 천지에 가이없다 이화(梨花)에 월백(月白)하니 임생각이 새로워라 두견아, 너는 누를 그려...

대장부 국악

s

경기와창(유산가) 국악

화란춘성하고 만화방창이라 때 좋다 벗님네야 산천경개를 구경을 가세. 죽장망혜 단표자로 천리강산 들어를 가니 만산홍록 들은 일년일도 다시 피어 춘색을 자랑노라 색색이 붉 었는데 창송취죽은 창창울울한데 기화요초 난만중에 꽃 속에 자던 나비 자취없이 날아간다. 유상앵비는 편편금이요 화간접무는 분분설이라 삼춘가절이 좋을시고. 도화만발 점점 홍이...

길군악 국악

군악이라는곡은... 만파정식지곡이라는 또다른이름이있는음악입니다... 궁중음악인 정악의 한장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