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수, 노래, 앨범, 가사내용 검색이 가능합니다.


고고천변 나뷔

어기여차 떠나간다 치어다 보느냐 만학은 천 봉 내려 굽어보니 백사 지로구나 우쭐우쭐 춤을 추난데 아니 놀지는 못하리라 치어다 보니 만학천봉이요 내려 굽어보니 백사지 땅에 우쭐우쭐 춤을 출제 요런 경치가 또 있나 아마도 네로구나 요런 경치가 또 있나 아마도 네로구나 요런 경치가 또 있나 아마도 네로구나 요런 경치가 또 있나 아마도 네로구나 요런 경치가 또 있나 고고천변

고고천변 수궁가

중중몰이 ‘고고천변’은 자라가 토끼를 잡으러 세상에 나오면서 온갖 좋은 경치를 구경하는 대목인데, 판소리의 여러 곡 가운데 ‘제비노정기’와 함께 가장 빼어난 서경시로 꼽는 명곡이다. ‘조선창극사’에는 이 곡을 가왕으로 꼽는 순조 때 명창 송흥록의 더늠이라한 점을 보면 아주 오래된 곡이란 것을 알 수 있다. 원래 씩씩한 우조로 부르며, ‘동편제 판소리’...

고고천변 김창환

고고천-변 일륜홍 부상에 둥-둥 떠-어 어 룡은 자 ㅁ 자고 자교새 펄-펄 날아든다 동-정 여천에 파시-추 금-수 추파가 여기라 앞발로 벽파를 찍-어-당 기며 뒷발로 창랑을 탕탕 요리-조리 앙-금당 실- 떠 동정 칠-백리 (간주) 사-면을 바라보니 지-광- - 은 칠백-리 파- - 광 -은 천일색 천외 무산에 십-이 봉은 구름--- 밖에 멀 -고 ...

고고천변 국창 김창환

원반녹음: Columbia 40148-A, 1930년 원반제공: 이중훈 [중중몰이] 고고천변일륜홍 부상에 둥둥 높이 떠 양곡의 잦인 안개 월봉으로 돌고, 어장촌 개 짖고, 희안봉 긔(기) 구름이 떠 노와 낱낱 눈되고, 부평은 물이오, 어룡 잠들고, 자규난 훨훨 날아서 동정여천파시추 금석성추파가 이 나니야 앞발로 벽파를 찍어다리고 뒷발로 창랑을 탕탕...

고고천변 임방울

(중중머리) 고고천변홍일광, 부상으 높이 떠 양곡으 잦은 안개 월봉으로 돌고 돌아, 어장촌 개짖고, 희안봉 구름이 떴다. 노화 낱낱 눈 되고, 부평은 물에 둥실, 어룡은 잠자고, 잘새 펄펄 날아든다. 동정여천파시추 금색추파가 여기라. 앞발로 벽파 찍어 당겨 뒷발로 창랑을 탕탕. 요리조리 조리요리, 앙금 둥실 떠 사면 바라보니, 지광은 칠백리요, 파팡은...

여보, 도련님 나뷔

여보 도련님 여보 도련님나를 어쩌고 가려시오태산이 무너져서평지가 되거든 오랴시오조그마난 조약돌이크나큰 광석이 되어서정을 받거든 오랴시오날 데려가오날 데려가오쌍교도 싫고 독교도 싫네날 데려가오날 데려가오반부담 지어서날 데려가오여보 도련님 여보 도련님나를 버리고 어딜가요여보 도련님 여보 도련님인제 가면 언제와요저 건너 늘어진 장송깁수건을 끌러내어한 끝 나...

별주부 세상 나오는데 고고천변

아니리 “그 말은 방불허나 뒤 진털밭 남생이가 흠일세” 총총히 작별 후에 수정문 밖 썩 나서서 세상 경개를 살피고 나오는데 중모리 고천변일륜홍 부상에 높이 떠 양곡의 잦은 안개 월봉으로 돌고 돌아 어장촌 개 짖고 회안봉 구름이 떴구나 노화는 다 눈 되고 부평은 물에 둥실 어롱은 잠자고 잘새는 펄펄 날아든다 동정여천에 파시추금색추파가 여기라. 앞발로 ...

산천경개(고고천변) 박동진

고고천변일륜홍(皐皐天邊日輪紅) 부상(扶桑)에 둥둥 높이 떠 양곡(凉谷)의 자진 안개 월봉(月峰)으로 돌고, 어장촌(漁場村) 개짖고, 회안봉(廻雁峰)의 구름이 더 노화(蘆花)는 눈되고 부평(浮萍)은 물이오, 어룡(魚龍) 잠들고 자규는 훨훨 날아서 동정여천파시추(洞庭如天波始秋) 금색추파(金色秋波)가 예아니냐. 앞발로 벽파(碧波)를 찍어다리로 뒷발로 창랑...

소지노화, 고고천변 심상건

객래문아는 수궁가 중에서 ‘소지노화’와 ‘고고천변’을 한데 합쳐서 짠 노래인데, 이 두 노래는 수궁에서 나오는 부분으로 서로 이면이 비슷하여 하나의 단가처럼 부르는 수가 많다. 이 대목은 자연 경치를 묘사하는 사설이 일품이고, 곡조 또한 흥취가 있어 따로 떼어서 부르는 일이 만?. 중중머리 장단에 화평하게 불러 가야금병차의 화려한 멋을 자랑한다. 이 ...

수궁가 중 고고천변 Various Artists

해설: 이보형 송만갑이 부른 수궁가 ‘고고천변’을 담았다. 수국 용왕의 병에 약으로 쓸 토끼의 간을 구하고자 별주부 자라가 세상(육지)에 나오면서 기막히게 좋은 산천경치를 구경하는 대목이다. 아기자기한 경치를 그린 소리이기 때문에 구성진 중중모리 장단에 화창한 성음으로 소리가 짜여 있다. 다른 명창이 부른 ‘고고천변’에 견주어 송만갑이 부른 것은 더욱...

수궁가 중 고고천변 오태석

토끼화상에 이어지는 곡으로 중중몰이 ‘고고천변’과 중몰이 ‘여러 짐승 나오는 대목’이다. 원래 재담을 섞어 재미나게 엮어가지만 유성기음반이라 아니리는 생략되어 있다. 오태석은 원래 수궁가에 장하며, 여러 짐승들의 흉내를 잘 내어 관중을 포복절토케 했다고 한다. 그는 자유자재로 가야금을 구사하여 거의 판소리 전바탕을 가야금병창으로 엮어낼 만큼 솜씨가 빼...

수궁가 토끼화상 ~ 고고천변 정윤형

“화공을 불러라 화공을 불러라.” 화공 불러들여 토끼 화상을 그린다. 연소왕 황금대 미인 그리던 명화사, 남국 천자 능허대 일월 그리던 화사. 동정유리청홍연 금수추파 거북 연적 오징어로 먹 갈아, 양두화필을 덥벅 풀어 단청 채색을 두루 묻혀, 백릉설화 간지상에 이리저리 그린다. 천하명산 승지간의 경개보던 눈 그리고, 난초 지초 왼갖 향초 꽃 따 먹든 ...

고고천변 (별주부 세상으로 나오다) 이영태

그 말은 방불허나 뒤 진털밭 남생이가 흠일세 그놈은 나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몸에서 노랑내가 심히나니 그 냄새로 분간하소 총총히 작별후에 수정문 밖 썩 나서서 세상 경계를 살피고 나오는디 고고천변 일륜홍 부상에 높이 떠 양곡에 잦은 안개 월봉으로 돌고 돌아 예장촌 개 짖고 회안봉 구름이 떳구나 노화는 다 눈되고 부평은 물에 둥실 어룡은 잠자고 자규새는 훨훨 날아든다

수궁가중 여봐라 주부야-고고천변-관대장까지 윤소인

두다려주며 알려 줄 이가 뉘 있드라느 말이냐 못 가느니라 세상이라 허는데는 한번가면 못 오느니라 가지마라 못 가게 꼭 붙들고 만류를 허며 위방 불입을 가지를 마라 (아니리) 어머니 너무 심화 마옵소서 나라에 환후가 계옵시어 약 구하러 가는 봉명사신 이오니 너무 염려 마옵소서 이렇듯 하직허고 수정문밖 썩 나서니 경치가 잔이 좋턴 것이었다 (중중모리) 고고천변

가야금 병창과 관현악을 위한 고고천변 숙명 가야금 연주단

고고천변 일륜홍 부상으 둥둥 떠 룡은 잠자고 자교새 펄펄 날아든다 동정 여천에 파싯추 금색 추파가 여기라 앞발로 벽파를 찍어 당기며 뒷발로 창랑을 탕탕 요리조리 앙금당실 떠동정 칠백리 사면을 바라보니 지광은 칠백리 파광은 천일색 천외무상의 시비 봉은 구름밖으 멀고 해외소상은 일천리 아안하에 경이라 남문전달 밝은데 오현금도 끊어 지고 남으로 둥둥

박범훈 : 가야금 병창과 관현악을 위한 고고천변 숙명 가야금 연주단

고고천변 일륜홍 부상어 둥둥 떠어룡은 잠자고 자교새 펄펄 날아든다 동정 여천에 파시추 금수 추파가 여기라 앞발로 벽파를 찍어 당기며 뒷발로 창랑을 탕탕 요리조리 앙금당 실- 떠 동정 칠 백리 사면을 바라보니 지광은 칠백리 파-광은 천일색 천외무상어 십이 봉은 구름 따라 멀고 해외 소상언 일 천리안- 하에 경이라 남문전달 밝은데 오현금도 끊어

김연수제 여봐라 주부야-고고천변 (Feat. 김찬미) 소리담

구하소서 휘편만리거 안득염향규를 낭군도 응당 아시리다 주부듣고 하는 말이 충신의 아내 됨직하오 마누라 말대로 하려니와 세상의 흉한 놈들 말굽자래 맛좋다고 얼른하면 건져가니 어린 것들 자주 찾아 멀리가지 말게 하오 온 집안 종족들이 차례로 하직한 연후 별주부 발정하여 세상을 찾아 나갈적에 수국 풍경은 조석으로 보는 바나 세상 경치가 아주 기이하든 것이었다 고고천변

Time To Say Good Bye 아나테봇리

che non ho mai 파에지 깨 논 오 마이 내가 한번 보았고 Veduto e vissuto con te 베두토 에 뷔쑤토 꼰 테 당신과 함께 살았던 나라 Adesso si li vivro 아데쏘 시 리 비브로 지금부터 나는 거기서 살렵니다 Con te partiro 콘 떼 파르띠로 당신과 함께 떠나렵니다 Su navi per mari 수 나뷔

가야금 병창 강정숙

수궁가중 '고고천변' 춘향가중 '사랑가' 가야금 : 강정숙 장구 : 장덕화 산조의 발생과 거의 비슷한 시기에 가야금 병창이란 것이 만들어졌다.

단가 편시춘 임방울

그러나 우조로 꿋꿋하게 불러야 할 수궁가중 <고고천변>도 계면으로 불렀던 임방울은 <편시춘> 역시 계면으로 부르고 있다. 임방울의 녹음 중에는 걸작이라 하겠다.

단가 백발가 이동백

판소리 명창마다 각기 장기로 하는 단가가 있었는데, 김창환은 <고고천변>, 송만갑은 <진국명산>, 김창룡은 <대장부한>, 정정렬은 <적벽부>를 즐겨 불렀고, 이동백은 엄청난 김을 바탕으로 해서 박을 밀고 당기고 자유 자재로 소리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