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단의 변명 (하나는 남중문장재사요)

모보경, 이상호
앨범 : 모보경의 정정렬제 완창 춘향가
[아니리]
“네 요년, 말히라. 바른대로 허면 이어니와 만일 둔사허는 날은 죽고 남지 못 허리라. 간밤에 애기씨가 무슨 일이 있었지? 너는 모를리 없을테니 바른대로 말해라.”
이렇듯 호통허니 향단이 겁을 내어,
“마나님 진정허시고 제 말씀을 들어뵈겨요. 간밤에 애기씨와 제가 바느질을 허는디 책방도련님이 나와겨서 애기씨와 말씀허시기에 저는 제 방으로 왔사오니 그 뒷 일은 어찌되었는지 몰라요.”
춘향모 깜짝 놀래어
“아이고, 일은 당했구나, 당했어. 이년아, 그 도련님이 무단히 오셨을까. 네 년이 중간에서 노랑수건 노릇을 힛지.”
몽치를 들어 치랴하니 향단이 겁을 내어,
“아이고 마나님 진정허시고 제 말씀을 들어 뵈겨요. 애기씨와 제 허물이 아니라 마나님 허물로 이리 된 일이지요.”
“아따, 이 년들이 일은 저그가 저질러놓고 젖은 옷 벳겨 내게 입히네 그려. 어째서 내 허물이란 말이냐?”
“당초에 애기씨는 그네 뛰러 갈 생각도 없었는디 마나님이 가라고 가라고 시켜서 보내시더니”
[엇중모리]
“하나는 남중문장재사요, 또 하나는 여중문장재녀라. 재사 재녀가 눈이 맞어 이리 되었사오니 마나님이 시긴 일이요, 하나님이 시키신 일이오니 너무 분히 생각 마옵소서.”

관련 가사

가수 노래제목
모보경, 이상호 사또전 춘향모의 말 (춘향 어머니 여짜오되)
모보경, 이상호 광한루 행차채비 (저 방자 분부 듣고)
모보경, 이상호 어사또와 춘향모의 상봉 (허허 저 걸인아)
모보경, 이상호 부끄러운 춘향이 (춘향 앞으로 들어가며)
모보경, 이상호 네가 날 오기만 기대려라 (춘향이 여짜오되 어머니 우지말고)
모보경, 이상호 몽중가 (아무덴 줄 바이몰라)
모보경, 이상호 광한루 풍경 (동편을 가리키며)
모보경, 이상호 난향이 춘향을 달랜다 (적적한 심야간으)
모보경, 이상호 월매의 실망 (춘향 모친 기가맥혀)
모보경, 이상호 오리정 이별 (도련님 하릴없이) ~ 술상 채려




가사 수정 / 삭제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